본문 바로가기
매일미사 말씀묵상

24/05/23 (목) 매일미사 오늘의 말씀 묵상

by 평화다방 2024. 5. 23.
반응형

 

 

주님, 저는 당신 자애에 의지하며, 제 마음 당신 구원으로 기뻐 뛰리이다. 은혜를 베푸신 주님께 노래하리이다.

전능하신 하느님, 저희가 언제나 하느님의 뜻을 새기고 말과 행동으로 실천하게 하소서.

2024년 5월 23일 연중 제7주간 목요일 온라인 미사와 오늘의 말씀 묵상입니다.

 

 

천주교 온라인 매일미사와 오늘의 말씀 묵상 24년 5월 23일 (목) 평화방송 매일미사 온라인 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 매일미사 조명연 마태오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김찬선 레오나르도 신부 전삼용 요셉 신부 한상우 바오로 신부 오늘의 말씀 묵상

 

 

 

랜선으로 초대해요!

2024년 5월 23일
매일미사와
오늘의 말씀 묵상

연중 제7주간 목요일

 

 

 

오늘 말씀 한 줄 요약

  • 제 1독서
    (야고 .5,1-6)
    일꾼들에게서 가로챈 품삯이 소리를 지르고 있습니다. 그 아우성이 주님 귀에 들어갔습니다.

  • 오늘 복음
    (마르 .9,41-50)
    두 손을 가지고 지옥에 들어가는 것보다 불구자로 생명에 들어가는 편이 낫다.

  • 오늘 말씀 카드
    (마르 9,50)
    소금이 짠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그 맛을 내겠느냐?

 

소금이 짠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그 맛을 내겠느냐? (마르 9,50) by 피어나네 성경 말씀 카드 성경구절 이미지

 

온라인 매일 미사 바로가기

 

오늘의 말씀 묵상 바로가기

 

 

 

야고 5,1-6
오늘 제1독서

 

일꾼들에게서 가로챈 품삯이 소리를 지르고 있습니다. 그 아우성이 주님 귀에 들어갔습니다.


자 이제, 부자들이여! 그대들에게 닥쳐오는 재난을 생각하며 소리 높여 우십시오. 


그대들의 재물은 썩었고 그대들의 옷은 좀먹었습니다. 


그대들의 금과 은은 녹슬었으며, 그 녹이 그대들을 고발하는 증거가 되고 불처럼 그대들의 살을 삼켜 버릴 것입니다. 그대들은 이 마지막 때에도 재물을 쌓기만 하였습니다. 


보십시오, 그대들의 밭에서 곡식을 벤 일꾼들에게 주지 않고 가로챈 품삯이 소리를 지르고 있습니다. 곡식을 거두어들인 일꾼들의 아우성이 만군의 주님 귀에 들어갔습니다. 


그대들은 이 세상에서 사치와 쾌락을 누렸고, 살육의 날에도 마음을 기름지게 하였습니다. 


그대들은 의인을 단죄하고 죽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그대들에게 저항하지 않았습니다.

 

 

매일미사 오늘 복음 (Gospel)

 

하느님 말씀을 사람의 말로 받아들이지 말고 사실 그대로 하느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여라.

 

 

마르 .9,41-50
오늘 복음

 

두 손을 가지고 지옥에 들어가는 것보다 불구자로 생명에 들어가는 편이 낫다.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41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그리스도의 사람이기 때문에 너희에게 마실 물 한 잔이라도 주는 이는, 자기가 받을 상을 결코 잃지 않을 것이다. 

42 
나를 믿는 이 작은 이들 가운데 하나라도 죄짓게 하는 자는, 연자매를 목에 걸고 바다에 던져지는 편이 오히려 낫다. 

43 
네 손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잘라 버려라. 두 손을 가지고 지옥에, 그 꺼지지 않는 불에 들어가는 것보다, 불구자로 생명에 들어가는 편이 낫다. 

(44)·45 
네 발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잘라 버려라. 두 발을 가지고 지옥에 던져지는 것보다, 절름발이로 생명에 들어가는 편이 낫다. 

(46)·47 
또 네 눈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빼 던져 버려라. 두 눈을 가지고 지옥에 던져지는 것보다, 외눈박이로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편이 낫다. 

48 
지옥에서는 그들을 파먹는 구더기도 죽지 않고 불도 꺼지지 않는다. 

49 
모두 불 소금에 절여질 것이다. 

50 
소금은 좋은 것이다. 그러나 소금이 짠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그 맛을 내겠느냐? 너희는 마음에 소금을 간직하고 서로 평화롭게 지내라.”

 

 

매일미사 실시간 스트리밍 온라인 미사 (Daily Catholic Holy Mass Online)

 

가톨릭 평화방송
매일미사

 

 

2024년 5월 23일
김현규 F.하비에르 신부

 

✚ 미사시작 00:23

✚ 강론시작 06:56

 

 

 

유튜브 실시간 스트리밍
미사 생중계 성당

 

 

 

매일미사 오늘의 말씀 묵상 (Daily Homilies Reflections)

 

매일미사 말씀묵상
김혜윤 베아트릭스 수녀

 

네 손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잘라 버려라.

오늘 복음과 독서의 표현들은 꽤 위협적이고 과격합니다. ‘죄를 짓게 하는 요소’를 없애라는 표현을 “잘라 버려라.”, “빼 던져 버려라.” 등으로 명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스 말 ‘아포콥토’(자르다)는 무엇인가를 잘라 내어 없어지게 하는 행위를 일컫고, ‘에크발로’(-로부터 빼내서 던지다) 또한 무엇인가를 멀리 던져서 주변에 존재하기 않게 하는 행위를 일컫습니다. 

모두 점진적 과정이나 단계와는 다른 ‘급진’과 ‘극단’을 부각시킵니다. 악의 요소를 단호하게 끊어 내고 분리시키지 않으면, 우리의 신앙생활이 소모적이고 무모한 시간 낭비가 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것입니다.

영성 생활에서 만나는 뜻밖의 복병은 나날의 작고 사사로운 변화입니다. 엄청난 비극과 급작스러운 불행에는 꺾이지 않는 강한 힘으로 용감히 대처하면서도 “소금”처럼 자잘한 일상의 습관에는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사소하고 평범한 습관쯤이야 언제든지 마음만 먹으면 고칠 수 있다고 착각하고, 그렇게 스스로 속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특별히 오늘 복음에서는 손, 발, 눈 등 일상의 행동과 연결된 신체 부위를 말하며 그러한 사소함과 평범함이야말로 우리를 악에 노출시키는 의외의 도구임을 경고합니다.

적당한 선행이나 기도만으로 삶과 신앙이 저절로 깊어지지 않습니다. 일상적이고 사소한 죄의 도구로 쓰이는 손과 발, 눈을 조심하는 데에 단호한 결단과 집중이 필요합니다. 때로는 어느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에게 단호히 맞설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의 말씀 묵상
김찬선 레오나르도 신부

 

마음에 소금을 뿌려라.

오늘 독서는 부자들의 죄에 대해 경고하고, 복음도 죄짓는 것에 대해 엄중히 경고합니다. 어느 정도로 엄중하냐 하면 죄짓게 하는 것이라면 그 손발은 잘라 버리고 눈은 빼 던져 버리라고 합니다. 

우리는 이 말씀에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고, 강하게 반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죄짓게 한다면 정말로 손발을 자르라는 말인가? 우리 인간은 다 살자고 밥 먹는 것이고, 살기 위해서 죄도 짓지 말자는 것인데 이 말씀은 살라는 얘기가 아니라 죽으라는 얘기밖에 되지 않지 않은가? 우리 지체 중에 죄짓지 않게 하는 지체가 어디 있다는 말인가? 이러다가는 남아나는 지체가 하나도 없게 되는 것이 아닌가? 

그러므로 우리는 정말로 이렇게 해서는 안 되고, 주님의 가르침도 정말로 이렇게 하라는 것이 아니며 지체를 다 잘라낼 정도로 마음을 단단히 먹으라는 말일 것입니다. 

주님께서도 죄는 다 마음에서 나온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그러니 지체를 다 잘라버릴 정도로 단단히 마음먹으라는 가르침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오늘 말씀의 끝에 마음 얘기를 꺼내십니다. 

“소금이 짠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그 맛을 내겠느냐 너희는 마음에 소금을 간직하고 서로 평화롭게 지내라.” 

마음에 소금을 간직하라? 

마음이 물러지지 않고 썩지 않게 하라는 말씀일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다른 곳에서 이렇게 말씀하신 적이 있지요. 

“너희는 스스로 조심하여 방탕과 만취와 일상의 근심으로 너희 마음이 물러지는 일이 없게 하여라.” 

조심(操心)이라는 말을 그대로 풀이하면 마음을 잡는 것입니다. 조(操) 자가 ‘잡다’, ‘쥐다’, ‘부리다’의 뜻이기 때문입니다. 방심(放心)하면 안 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방심은 마음이 풀어지는 것이잖아요? 그러니 신체를 잘라서라도 마음을 잡으라는 말씀이고, 마음이 물러지지 않도록 단단히 마음먹으라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이어지는 말씀이 ‘서로 평화롭게 지내라’라는 말씀입니다. 이것은 욕심(慾心)과 연관이 있는 말씀일 것입니다. 마음이 물러서도 안 되지만 욕심의 마음이어도 안 된다는 말씀입니다. 재미있는 것이 오늘 야고보서의 끝에 이런 표현이 있습니다. 

“그대들은 이 세상에서 사치와 쾌락을 누렸고, 살육의 날에도 마음을 기름지게 하였습니다.” 

부자들의 죄에 대해 경고하면서 마지막으로 이 말을 한 것인데 품삯을 주지 않는 것 때문에 원성을 사고, 곧 죽을 텐데도 이 세상에서 온갖 욕심을 부리는 것에 대한 경고이지요. 그러니 주님 말씀은 욕심에 소금을 뿌려, 마음이 청빈해지면 이웃과 평화롭게 되리라는 말씀이겠습니다.

 

 

 

오늘의 말씀 묵상
전삼용 요셉 신부

 

전삼용 요셉 신부님의 오늘 말씀 묵상 업데이트 준비중입니다.

 

 

 

오늘의 말씀 묵상
조명연 마태오 신부

 

주님을 나의 과녁으로...

신약성경에서 죄를 뜻하는 희랍어는 하마르티아(ἁμαρτία)입니다. 하마르티아는 화살 쏘는 이가 과녁을 빗맞히듯이 과녁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죄는 핵심에서 벗어난 인간의 존재 방식을 뜻하는 것입니다. 죄에 물들어 있으면 인간답지 못하게 살 수밖에 없습니다. 당연히 고통을 겪고 고통을 또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우리의 과녁은 당연히 주님입니다. 주님을 벗어나면 자연스럽게 죄 중에 빠지게 되면서 힘든 삶의 연속이 됩니다. 사기를 쳐서 부자가 되면 행복할까요? 이런 사람들은 언제 잡힐지 불안해서 공돈이라고 할 수 있는 돈을 순간적인 만족을 주는 유흥에 낭비하며 쓰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돈도 모으지 못하고 불안한 마음으로 가득합니다. 당연히 행복할 수 없습니다. 뇌물을 줘서 높은 지위를 얻으면 어떨까요? 이 역시 자기 능력으로 얻은 것이 아니라 불안함의 연속이 됩니다. 
 
세상의 풍요, 또 편하고 쉬운 것만을 쫓다 보면 주님을 잊어버리게 됩니다. 어렸을 때, 복사도 서면서 열심히 성당에 다녔었다고 말씀하시는 형제님이 있었습니다. 성인이 되어서 세상일에 파묻혀 지내다 보니 자연스럽게 성당을 멀리하셨습니다. 그러나 어느 순간 공허함을 느끼게 되었고, 그 순간 어렸을 때 성당 안에서 지냈던 행복한 기억들이 떠올려져서 다시 성당에 나오게 되었다는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주님을 나의 과녁으로 삼아야 했습니다. 그래야 삶의 방향에서 벗어나지 않게 됩니다. 참 기쁨과 행복의 삶을 살게 됩니다. 예수님께서도 우리가 이전의 삶을 끊고 하느님께 돌아오도록 아주 강한 어조로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그 시작은 거창한 일을 실천하는 데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아주 작은 일에서 시작됩니다. 이 아주 작은 일을 소홀히 하면 주님으로부터 벗어나서 기쁨의 삶을 살 수 없게 됩니다. 오늘 복음은 이 점을 분명히 하시지요. 
 
“네 손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잘라 버려라. 네 발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잘라 버려라. 네 눈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빼 던져 버려라.” 
 
작은 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됨을 충격받을 만한 말씀으로 우리에게 전해주십니다. 그래야 주님을 과녁으로 자기 삶의 방향을 올바르게 나아갈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작은 일에도 소홀히 하지 않는 사람에게 커다란 상이 주어질 것입니다. 
 
소금이 짠맛을 잃으면 맛을 낼 수 없음도 이야기하십니다. 우리 존재는 이웃과 함께하는 사랑의 실천을 통해서 분명히 드러나게 됩니다. 자기의 욕심과 이기심이 드러나는 그 어떤 것도 주님의 관심을 끌 수 없습니다. 오직 사랑만이 주님의 관심 안에 있습니다.

 

오늘의 명언

바람직한 삶이란 상태가 아니라 과정이며, 목적이 아니라 방향이다.

- 칼 로저스

 

 

 

오늘의 말씀 묵상
한상우 바오로 신부

 

소금이 짠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그 맛을 내겠느냐?

회개의 삶이 바로 소금의 짠맛입니다. 소금의 무게가 십자가의 무게입니다. 하느님과 하나로 결합시키는 소금이 십자가입니다. 우리를 살리고 우리를 일으키는 소금의 삶이 있습니다. 소금의 삶이 우리를 이끌고 갑니다. 

소금은 기꺼이 녹아 스며들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삶이 죄와 욕심에 굴복하는 삶이 아니라 결단하고 결심하는 더 나은 삶의 결정체가 소금입니다. 거기서 시작되는 변화의 삶입니다. 소금의 삶은 참으로 좋은 것입니다. 

간직해야할 예수님의 삶입니다. 예수님의 삶은 소금처럼 거짓을 다스리고 욕망을 다스립니다. 다스리는 삶이 짠맛의 삶입니다. 그래야 사람이 되고 성숙한 어른이 되는 것입니다. 밋밋한 신앙이 아니라 짠내나는 신앙의 맛입니다. 

소금의 짠맛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살리는 참된 평화가 됩니다. 십자가 없는 평화는 있을 수 없듯이 소금의 짠맛 없이는 삶의 변화도 없습니다. 결단과 결심 실천과 행위로 참된 사랑을 나누는 소금같은 오늘 되십시오.

 

 

 

 

반응형

댓글